건강 story/질병

협심증 전조증상 & 초기 증상, 원인

올리아나 2022. 9. 18. 15:12

50대 이상에서 많이 발생하는 협심증의 전조증상, 초기증상, 원인, 예방법까지 한번에 정리했습니다. 이 글을 읽고 자가진단을 해보고 의심이 든다면 바로 응급실을 방문해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아무래도 심장쪽 질환이라 위급한 상황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협심증
협심증

 

협심증이란?

심장 질환심장
협심증 이란?

협심증은 한자로 좁을협, 마음 심, 증세증을 쓰는 단어로 한자에 뜻이 그대로 담겨 있습니다. 심장에는 관상동맥이 연결되어 있어서 혈류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 관상동맥이 좁아져서 발생하는 질환을 말합니다. 이런 상황이 생기면 심장에 적절한 혈액 공급이 안되어 산소 공급도 빠르게 줄어들고 가슴 통증이 생기게 된다고 합니다. 협심증은 그 안에서도 크게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고 하는데요. 안정형 협심증, 불안정형 협심증, 변이형 협심증으로 나눠집니다.

 

  • 안정형 협심증 - 동맥경화에 의해서 만성으로 협착되어 발생하는 협심증입니다.
  • 불안정형 협심증 - 죽상경화 병변이 파열되어 혈전이 생기는 상황으로 갑자기 협착이 발생하여 생기는 협심증입니다.
  • 변이형 협심증 - 혈관의 연축 때문에 혈류 장애가 생겨서 나타나는 협심증입니다.

 

Q. 협심증과 심근경색을 구별하기 어렵다는 사람도 있는데 무슨 차이가 있나요?

심근경색은 관상동맥이 아예 막히는 것이고 협심증은 관상 동맥이 좁아지는 질환입니다.

 

 

 

 

협심증 원인

관상동맥 안쪽 근육에 콜레스테롤의 주요 원인인 지방과 칼슘이 굳어서 혈관이 부어 올라서 혈관이 좁아지게 된 것입니다.

 

Q. 50대 이상이 협심증 환자가 많아지는 이유는?

혈관의 노화 현상은 보통 20대부터 시작이 됩니다. 이를 동맥경화증이라고 부르는데요. 이는 협심증의 주된 원인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동맥경화증은 흡연, 당뇨, 고혈압 등에 의해서 빠르게 악화되는데 이로 인해서 협심증이 나타나기까지는 보통은 20~30년 정도가 걸린다고 합니다. 그래서 50대가 이 질병을 가진 비율이 높은 것입니다.

 

 

 

 

 

협심증 전조증상, 초기 증상

협심증은 초기 증상이 분명하게 나타나는 질병은 아닙니다. 만약에 증상이 나타난다면 그건 어느 정도 질병이 진행된 상태라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가슴에 통증이 나타납니다.

제일 대표적인 증상이 흉통입니다. 그러나 사람마다 느껴지는 고통은 다를 수 있어서 그 예시를 몇 개 가져와봤습니다.

 

  • 가슴을 쥐어짜는 느낌이 난다.
  • 가슴에 묵직한 통증이 온다.
  • 가슴이 뻐근하고 짓누르는 느낌이 든다.

 

 

이런 통증은 항상 나타나는 것은 아니고 특정 상황에서 주로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고 하는데요. 이런 상황은 협심증의 종류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고 합니다.

 

[안정형 협심증]

  • 계단을 올라가거나 내려갈 때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다.
  • 격렬한 운동 중이나 운동을 하고 나서 증상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
  • 감정적으로 흥분했을 때 나타날 수도 있다.
  •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을 때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

 

 

[불안정형 협심증]

  • 평소에 안정된 상태일 때 갑자기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변이형 협심증]

  • 새벽이나 밤에 갑자기 통증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협심증 예방

협심증을 예방하기 위한 생활습관 몇 가지를 알려드리겠습니다.

  • 흡연자라면 금연을 한다.
  • 일주일에 2~3회 정도 주기적으로 운동을 한다. 
  • 짜고 맵고 지방이 많은 음식을 멀리하고 건강식단으로 섭취한다.
  • 커피, 홍차 등 카페인이 다량 함유된 음료를 건강한 음료로 대체한다.
  • 과식하지 않고 비만인 상태에서 벗어나야 한다.
  • 술을 되도록 마시지 않는다.

 

 

 


[마무리]

오늘 포스팅은 협심증 전조증상, 초기 증상, 원인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이 글을 보고 자가진단을 해보고 조금이라도 의심이 된다면 바로 병원에 방문하여 검사와 치료를 받는 것을 추천합니다. 간혹 협심증이 자가치료가 가능하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하는 사람도 있는데 자가치료로 증상을 호전시킬 수는 없다고 하니 최대한 빨리 응급실을 방문하는게 좋습니다.

 

 

 

[가슴통증 다른 원인?]

제가 위에 가슴통증이 협심증의 증상일 수도 있다고 써놨지만 사실은 근육통, 늑골염, 역류성 식도염 증상일 수도 있으니 참고해주시길 바랍니다.

 

- 오른쪽 가슴 통증 원인은?

- 역류성 식도염 가슴통증, 등 통증, 목 통증?

- 찌르는 듯한 가슴 통증의 원인! 늑골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