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득찰 단백질은 그 효능이 조금씩 알려져 있어서 이미 분말, 음료, 티백, 추출물 형태로 시중에 판매되고 있습니다. 우리 몸에 어떻게 도움을 주길래 제품이 만들어졌는지 궁금하시죠? 지금부터 진득찰 단백질 효능, 추출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 진득찰 단백질이란
- 말린 진득찰 하루 섭취량, 먹는 방법
- 효능
- 부작용
- 마무리
진득찰 단백질이란
국화과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식물이고 진득이 풀, 진득찰, 희선, 희첨초, 희첨으로 불려진다고 합니다. 대부분 약용으로 많이 쓰이고 겉 표면에 털이 많고 진득거리는 액체가 묻어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약용 식물이라 하면 구하기 어렵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길가, 밭두렁 등 주변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식물이라고 합니다.
진득찰은 뿌리를 제외하고 다 약용으로 쓰인다고 하는데요. 약은 쓰다는 말처럼 진득찰도 씁쓸한 맛이난다고 합니다. 또한, 차가운 성질을 가지고 있고 독성은 없는 특징이 있습니다.
말린 진득찰 하루 섭취량, 먹는 방법
진득찰을 말린 것을 기준으로 하루 20g 정도가 권장 섭취량입니다. 말린 진득찰을 우려서 하루 2~3번 정도 먹는 것이 좋습니다.
진득찰 단백질 효능
1. 당뇨 관리에 도움
진득찰의 풍부한 키레놀은 공복 혈당 인슐린과 공복 혈당 수치 관리에 도움을 줄 수도 있습니다. 키레놀은 포도당이 흡수되는 것을 억제하고 외부로 내보내는 역할을 한다고 합니다.
진득찰 단백질에 포함된 팔라티노스는 천연당의 종류 중 하나로 섭취하게 되면 몸속에서 느리게 분해되어 혈당이 급격하게 올라가지 않는다고 합니다. 그래서 설탕 섭취에 주의가 필요한 당뇨환자에게 도움이 될 수도 있습니다.
진득찰에 포함된 단백질은 당뇨환자에게 도움을 줄 수도 있습니다. 단백질은 모든 사람들이 필수적으로 섭취해야하는 성분이라 당뇨환자도 꼭 먹어줘야 하는데요. 기름기가 많은 단백질을 섭취할 경우 당뇨환자에게 안 좋은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지방이 없는 살코기 위주의 동물성 단백질이나 진득찰 같은 식물성 단백질을 섭취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도 있습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과도하게 단백질을 섭취하면 당뇨환자에게 안 좋다고 하니 적당량을 먹도록 해야 합니다.
2. 혈관 건강에 도움
키레놀은 혈관 건강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키레놀은 혈관 이완 작용을 도와주어 고혈압, 고지혈증, 동맥경화 등 혈관 질환을 예방하는데도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합니다.
3. 다이어트에 도움
진득찰의 키레놀 성분은 지방 세포가 생성되는 것을 억제해주는데 도움을 줄 수도 있다고 합니다. 운동과 병행하면서 진득찰 단백질을 꾸준히 섭취한다면 도움을 받을 가능성이 높아질 수도 있으니 참고해주세요.
4. 항염증 효능
진득찰 단백질에 포함된 헤르페리딘은 항염증 작용을 하고 염증 세포를 막아주는데 도움을 준다고 합니다. 몸에 해로운 활성 산소를 제거해줘서 몸이 건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Q.헤스페리딘?
헤스페리딘은 폴리페놀의 일종으로 감귤류에서 흔하게 발견되는 성분입니다.
진득찰 단백질 부작용
위장장애
진득찰 단백질은 차가운 성질이라서 많이 먹으면 소화불량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마무리]
진득찰 단백질 효능, 추출물에 대해 알아봤는데 도움이 되셨나요? 진득찰을 차로 마시는 게 취향에 맞지 않다면 진득찰 단백질 추출물을 두유처럼 편하게 먹을 수 있는 것을 추천합니다. 파는 곳이 궁금하신 분들을 인터넷에 검색하면 바로 나오니 확인해주시길 바랍니다.
[산양유 단백질]
진득찰 단백질이 식물성이라면 동물성 단백질은 산양유 단백질도 있습니다. 식물성 단백질과 동물성 단백질을 5:5 비율로 섭취하는 것이 좋다는 말도 있는데요. 궁금하다면 아래를 참고해주세요.
[튼튼해지기]
몸을 튼튼하고 건강하게 유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을 정리해봤습니다.
'건강 story > 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크라 효능, 요리, 먹는법 알아보기 (0) | 2022.09.28 |
---|---|
그릭 요거트 효능, 만들기, 먹는법 (0) | 2022.09.26 |
카무트 효능, 먹는법, 추천 - 총정리 (0) | 2022.09.20 |
차가버섯 효능, 끓이는법, 부작용, 효과 (0) | 2022.09.16 |
스테비아, 알룰로스, 에리스리톨 비교하기 (0) | 2022.09.14 |